IT/트위터

트위터 무작정 따라하기 3편 - 사용법 알아보기 (어떻게 하는거얌?)

(주)남시기닷컴 2010. 1. 21. 13:53
트위터에 가입하셨다면 트위터를 절반은 하신겁니다. 
좀 뻥이 심한가? 
사실 트위터 알면 알수록 여러가지를 할 수 있네요. ㅋ

트위터를 이용하는 방법은
1. 컴퓨터를 사용하여 
    가. 웹으로 접속하기
         a. 익스플로어로 접속하기
         b. 크롬, 파이어폭스, 사파리 등으로 접속하기
    나. 한글웹으로 접속하기
    다. 트윗덱등의 어플로 접속하기 (제가 아는것만 3가지 정도 있네요.)
2. 모바일을 사용하여.
    가. 아이폰, 아이팟으로 접속하기
        a. 파랑새등 각종 어플로 접속하기
        b. 사파리 사용하여 웹으로 접속하기 (유시민 장관이 이 방법을 사용하여 유명해진 방법 ㅋㅋㅋㅋ)
    나. 옴니아등 WM를 사용하여 접속하기
        a. moTweet등 각종 어플로 접속하기
        b. 오페라등 웹으로 접속하기 (좀 웃기긴 합니다.)
 3. 필자가 모르는 수많은 방법으로 접속하기

필자가 위에서 밝혔듯이 필자도 아직 초보자이고 필자가 모르는 수많은 방법들이 있을꺼라고 생각된다.

지금은 가장 기본적인 1. 컴퓨터를 사용하여 가. 웹으로 접속하고 a. 익스플로어를 이용하여 트위터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이유는 일단 이 기본적인 방법을 알아야지 다른 방법도 이해하기 편하기 때문이다.

사실 이 방법만 알아도 나머지는 소위 우리반 학생들이 이야기하는 껌이다.
(참고로 필자는 중학교 선생님이다.)



자 트위터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sign in을 클릭해 보자.


1번에 아이디를 넣자. 필자는 연습용 아이디인 USooHan을 넣었다.
2번에 비밀번호를 넣자. 땡땡땡땡.... 넣었다.
3번에 개인 컴퓨터라면 체크를 해 놓자. 앞으로 아이디 비번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4번을 클릭하여 로그인을 한다.

보안경고가 뜨면 예를 누르고 접속한다.

짜짠~~~~~ 드디어 트위터에 접속했다.
아래 화면이 나온다.


1번은 나의 글을 쓰는 곳이다.
2번은 내가 쓴 글이 몇개인지를 알려준다. 0 tweets이다.
당연히 글을 하나도 쓰지 안았으므로 0 tweets 이다.

자 그럼 글을 한번 써볼까?


1번에 글을 쓴다. 
글자 수가 늘어 남에 따라 2번의 140이 점점 줄어든다. 트위터는 글자수 140자로 제한하고 있다.
(물론 긴 글을 쓰는 방법은 있다. 다음에 소개하도록 하겠다.)
3번 update를 누르면 글이 등록된다.


1번은 제일 최근 내가 쓴글(트윗)을 보여 준다.
2번은 내 타임라인이다. 타임라인이라면 내가 쓴 모든 글일 올라오는 곳이다.
현재 글을 1개 밖에 쓰지 않았으므로 글이 1개 올라와있다.
(다음에 소개 하겠지만 타임라인에는 내 글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이 쓴 글도 올라온다.)
3번에 보니 1 tweets라고 적혀있다. 내가 쓴 글이 총 1개라는 뜻이 되겠다
4번에 보니 구독(친구신청, following 등록을 해라고 한다.

그럼 지금부터 구독(친구신청, following)을 해보자.

용어 정리를 해야 되겠는데 앞으로는 트위터 용어를 번역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여 following라 부르겠다.
아래 그림을 보면 설명하겠다.


1번에 0 following이다.
(following 이란 내가 구독하는 글, 내가 친구로 설정한 사람을 뜻한다. 이것은 그 사람이 나를 친구로 설정했다는 뜻은 아니다.)
following 하는 방법은 굉장히 많지만 내가 원하는 사람을 찾아 following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2번 Find People을 클릭한다.


위 화면이 나오면
1번에 찾는 사람의 아이디를 넣는다. 참고로 필자의 아이디는 namsigi이다.
2번 search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찾는 사람이 검색이 된다.


1번에 보니 찾는 사람이 나왔다. 부끄럽지만 검색된 사람은 필자이다.
물론 아이디가 namsigi2라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도 검색 되겠다.
1번을 보니 검색한 사람의 사진과 아이디 그리고 이름, 사는곳이 나오고 마지막 쓴글(이하 트윗이라고 하겠다.)이 나와 있다.

follow를 하기 위해 2번을 클릭한다. 
굉장히 간단하다.


1번 NAMSIGI에 대한 Following가 완료되었다.
이로서 NAMSIGI의 글을 읽을 수 있게 되었다는 뜻이다.
이것은 NAMSIGI가 내 글을 읽는다는 뜻은 아니다.
2번 Home를 눌러서 나의 페이지로 돌아가 보자.


1번을 보니 1 following 이 되었다.
내친김에 NAMSIGI에게 리플라이를 한번 해보자.
2번 글쓰는곳에 @[리플라이 할 아이디]를 쓴다.
위의 그림처럼 NAMSIGI에게 리플라이 하기 위해 
@NAMSIGI 라고 쓰고 한칸 띄운후 내가 그 사람에게 쓰고 싶은 말을 쓴다.


자~ 그럼 그냥 글을 쓰는 것과 리플라이는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자.
지금은 나의 following는 1 이고  followers가 0 이다.
이것이 의미하는것은 나를 following 한 사람이 하나도 없다는 뜻이 되겠다.
만약 나의 글을 읽는 사람 즉 나의 followers가 10명이라고 가정하자.
내가 그냥 글을 쓰면 나의 followers의 트위터에 내가 쓴 글이 등록이 된다.
하지만 @NAMSIGI 라고 쓴후 글을 쓰면 아이디가 NAMSIGI인 사람의 트위터에만 나의 글이 보이게 된다.
귓말 정도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사실 귓말은 아니다.. 그 이유는 나중에 설명 되겠다.)



1번에 글이 등록 되었다.
2번에 2 tweets가 되었다.

그럼. 필자의 트위터에 필자의 아이디로 접속하여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알아 보겠다.


오잉~~? 
1번에 보니 USooHan 아이디로 쓴 리플라이(귓말, 언급, 멘션)이 올라와 있질 않다.
이유는 필자가 USooHan을 following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럼 USooHan의 리플라이(귓말, 언급, 멘션)은 어디로 사라졌을까?
걱정 할 필요없다.
2번에 @NAMSIGI를 클릭해 보면 필자를 언급한 글이 모두 나온다.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USooHan의 글이 보인다.
자 그럼 필자(NAMSIGI)가 USooHan을 following 해보겠다.


상대방의 아이디를 클릭한다.


상대방의 트위터가 보인다.
Follow 를 클릭하면 USooHan이 필자의 following가 된다.


Following 되었다는 표시가 나오고
USooHan의 followers 숫자도 0에서 1로 바뀌었다.

그럼 필자(NAMSIGI)의 타임라인(Home)에 가보겠다.


위의 그림은 필자(NAMSIGI)의 홈(타임라인)에 올라온 글이다.
@NAMSIG를 클릭하였을때 보이는 글이 아니다.
필자가 USooHan을 following 했으므로 USooHan의 글이 @NAMSIGI 만이 아닌 타임라인에 보이게 되는것이다.


이말이 이해가 잘 되지 않는가?
타임라인이란 내 글과 내가 following 한사람들이 쓴 글이 올라오는곳을 말한다.
Home(홈)을 눌렀을때 타임라인이 나타난다.


잘 이해가 되지 않더라도 계속 따라 하다 보면 뭔가 조금씩 될것이라 믿는다.

글이 너무 길어져 버렸다.

다음 편을 기대 하세요~~~~!!!!